시사

미국 주류 교회들은 왜 동성애를 허용했을까

미국 장로교(PCUSA)는 지난 2011년에 열린제219차 총회에서 목사, 장로, 집사가 되려면 ‘남자와 여자 간 결합인 결혼을 했거나 독신일경우 순결을 지켜야 한다.’는 교단 헌법 규정을
삭제함으로 동성애(同性愛) 자도 목사 안수 받을수 있는 길을 열었다.( 사진 PCUSA logo)

그 후 2014년 제221차 총회에서 결혼에 대한 정의를 ‘한 남자와한 여자’에서 ‘두 사람의 결합’으로 바꿨고 급기야 2015년 3월 17일자로 교회 내에서 게이(남성 동성애자)와 레즈비언 (여성 동성애자) 등 동성애자들의 결혼을 인정하는 교단 헌법 개정안 14F(동성결혼 인정) 법안을 승인함으로써 동성결혼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미국 장로교(PCUSA)와 같이 미국 내에서 동성애 목사 안수를 비롯해 동성애 결혼 인정 등 동성애 문제에 있어 우호적인 입장을 갖고 있는 교단은 현재 그리스도연합교(The United Church of Christ), 미국 복음주의루터교(The Evangelical Lutheran Church in America), 성공회(The Episcopal Church)등이다. 동성애자들에 대한 이 같은 교회 내 변화된 분위기를 반영하듯최근 미국 연방대법원도 수년 간 지속되어 온 동성애 결혼에 합헌 결정을 내림으로써 동성애 문제에 대한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러한 결정들은 미국교회뿐 아니라 한국교회에도 큰 충격이 아닐수 없다. 더구나 일부 한국교회 언론이나 신학자와 목회자들은 특별히미국교회의 동성애 결혼 인정에 대해 미국교회가 청교도 정신을 잃어 버리고 변질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동성결혼 합법화는 미국 정신의 타락이라며 일제히 비난하고 나섰다

더구나 이번 미국교회와 사회의 동성애 결혼 인정과 합법화는 향후한국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에서 벌써부터 한국 교계가 동성애자들에 대한 극단적 혐오감으로 반대하는 진영과 동성애자들에 대한 감정적 반대보다 좀 더 목회적 돌봄과 치유 차원에서 끌어안아야 한다는 진영으로 나누어 서로를 비난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하지만 최근 미국 기독교의 변화와 상황들을 이해하면 동성애 성직자와 결혼에 대한 교회의 인정은 어느 정도 예견된 일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그리 놀랄 일은 아니라는 말이다. 필자는 이 짧은 소고에서 미국교회가 왜 동성애를 인정하는 방향으로 흘렀는가를 설명함으로써 앞으로 한국 교계에 들어닥칠 동성애 논란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한다.미국 주류교회들은 왜 동성애를 허용했는가?

1. 미국 주류교회들은 왜 동성애를 허용했는가?

이를 이해하려면 미국교회의 두 가지 큰 줄기를 알아야 한다. 미국기독교는 크게 주류 개신교 교회들(Mainline Protestant)과 복음주의 개신교교회들(Evangelical Protestant)로 나뉜다. 예를 들면 주류 개신교회들로는 미국 복음주의루터교회(the Evangelical Lutheran Church in America) 그리고 미국장로교회(the Presbyterian Church in America), 그리스도연합교회(The United Church of Christ), 성공회(Episcopal Church)등이고 복음주의 개신교 교회들은 남침례교회총회(Southern Baptist Convention), 루터교 미조리총회(Lutheran Church Missouri Synod)등이 있다.

그런데 특이한 점은 이번에 동성애 성직자 인정과 동성애 결혼을승인한 교단들이 바로 모두가 다 미국 기독교의 한줄기인 주류 개신교회들이라는 점이다. 그렇다면 미국 주류 개신교회와 복음주의 개신교회의 차아는 무엇일까?

(1) 먼저 성경을 보는 눈이 다르다.

주류 개신교회들에게 있어 성경은 기능적인 면에서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가르친다. 예를 들어 그들은 성경을 하나님의 흠 없는 말씀으로서가 아니라 역사적 문서로서 성경을 읽는다. 하나님의 말씀이 성경 안에 있고 대부분 매우 중요한 진리이지만 그것은 매 시대마다 해석을필요로 한다. 따라서 성경은 새로운 시대적 사조와 사회적 변화를 향해개방되어 있다고 그들은 믿는다.

반면에 복음주의 개신교회들은 성경은 흠이 없고 오류가 없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인다. 성경은 역사적 문서로서 새로운 시대마다해석되는 게 아니라 ‘성경은 그 자체로서 성경에 대한 최고의 해석자’ (Schptura sui ipsius interpres,t he Bible is its own best interpreter)라고 본다. 실제로 2005년 미국 베일러대학 종교연구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성경이
문자 그대로 사실인가?” 라는 질문에 대해서 복음주의 개신교인은 47.8%가 ‘그렇다’라고 답을 한 반면에 주류 개신교인은 11%만이 ‘그렇다’고 응답했고 주류 개신교인 22%는 ‘성경은 고대역사와 전설을 담은책’이라고 답했다

성경에 대한 이 같은 서로 다른 이해는 하나님과 구원에 대한 이해에도 영향을 끼친다. 주류 개신교인들에게 하나님은 세상일에 특별히 관여하지 않고, 화도 내지 않으며, 자연 세계를 움직이는 우주의 힘인 ‘멀리 있는 분’(Distant God)으로 보고 있다. 반면 복음주의 개신교인들은 하나님이 개인의 일상 및 세계의 모든 일에 깊이 관여하고 있고, 사람이 하나님을 떠나 죄를 범할 때 화를 내고 벌을 주시는 ‘권위의 하나님’(Authoritarian God)으로 보고 있다.

(2) 구원에 대한 이해도 다르다.

구원에 대한 이해도 미국 주류 개신교인들은 “예수가 구원의 유일한길임을 믿지만 다른 종교 전통에 있는 사람들 특별히 기독교 밖에 있는사람들도 하나님의 은혜와 구원에 접근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종교 간의 대화와 사회적 이슈들 가령 여성 차별, 시민 권리와 같은 문제들에 깊은 관심을 갖고 이에 좀 더 진보적인 접근을 한다.

반면 복음주의 개신교인들은 “구원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믿음만으로 가능하다.”고 믿는다. 이들은 회심과 중생을 강조하고 타종교와 민족에 대한 복음 전파와 개종에 더 큰 노력을 기울인다. 따라서사회적 이슈에 있어서도 좀 더 보수적인 입장을 취한다.

이러한 미국 개신교회의 신앙 배경을 이해하면 왜 미국의 주류 기독교인들이 동성애를 인정하고 동성애 결혼을 합법화에 찬성했는가를이해할 수 있다. 즉 주류 개신교인들에게는 성경에서 금하는 동성애를인정하고 사회적 약자로 인식되는 동성애자가 교회 목사나 장로가 될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 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니다. 성경을 역사적문서로 보고 매 시대마다 해석을 필요로 하며 하나님을 세상일에 특별히관여하지 않는 ‘멀리 있는 분’으로 보고 두려워하지 않는데 성경이 동성애를 금한다고 그대로 지키겠는가 하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미국의 주류 개신교회는 동성애 성직자를 인정하고 동성 결혼을 승인하는 것이 동성애를 금하는 성경을 버린 것이라는 비판에 도리어 이웃을 돌보라는 성경의 명령을 충실히 따르는 것이라고 반박한다. 그들은 성경을 믿지도 않으면서 필요할 때만 성경을 들먹인다.

2006년 동성애자를 주교로 임명한 미국 성공회 또한 그 결정이 반성경적이라는 비판에 대해 전통에 얽매인 개신교인들이 시대에 맞춰동성애자들을 동등하게 대우해야 함에도 그렇지 않다고 도리어 동성애를 반대하는 사람들을 비판했는데 이것 역시 성경을 믿지 않는 주류개신교회와 복음주의 개신교의 차이에서 나온 것이다.

이러한 흐름에 더해 소수민족에 대한 차별과 인권, 평등과 자유에특별히 예민하게 반응하는 미국 사회의 분위기와 독특한 소재로 시청률을 끌어올리려는 언론과 TV 매체들에 의해 동성애가 미화되면서 미국 연방대법원이 동성애 결혼을 합헌으로 결정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2. 한국교회는 동성애 문제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미국교회의 이러한 두 가지 상반된 신앙 배경은 한국 교계에도 의미가 크다. 최근 한국 사회에도 동성애자들이 퀴어축제 등을 통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고 이에 대해 교회들도 반동성애를 외치며 강한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향후 한국교회도 동성애 문제에 있어 미국 주류 개신교회와 유사한 신앙 배경을 갖는 교단들은 미국과 같이 동성애를 교단적으로 허용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복음주의 신앙 배경을 갖는 교회들은 동성애 문제에 있어 강한 반대뿐 아니라 동성애자들과 감정적 갈등과 마찰을 빛을 가능성이 있다.

필자는 한국교회가 동성애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좀 더 지혜로운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최근 기독교인들의 동성애자들과의 감정적 대립은 문제 해결에 도움보다는 도리어 기독교가 동성애자들을 차별한다는 비난에 부딪힐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교회가 PCUSA처럼 성경을 포기하면서까지 타협하는 일은 절대로 있어서는 안 될 것이다.(*) 글쓴 이 / 정진오 목사(시온루터교회 한인 담당) 출처 / 기독일보 제493호 2015년 8월 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