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한국교회를 생각 한다

유난히 무더위가 맹위를 떨쳤던 지난 7월 27일 미국 하버드대 출신의 ‘푸른 눈의 수행자’로 불리는 조계종 승 려 현각이 갑자기 ‘한국불교 를 떠나겠다!’는 폭탄선언을 해서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현각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해로 한국에서 승려생 활 한 지 25년째인데 주한 외국인 스님은 오로지 조계종의 장식품일 뿐이었다.”고 실토하여 조계종 내부에서 찬반의 설전이 벌어지도록 만 들었다. 필자는 이를 타종교 내 해프닝으로만 볼 수가 없었다. 우리 기 독교계는 과연 어떠한가를 되묻지 않을 수 없었다.

오는 2017년은 종교개혁 5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이런 때 한국교회 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신랄하게 비판한 독일 출신의 선교사이자 신학 자인 말테 리노 교수가 약 1년 전에 한국교회를 향하여 던진 말이 필 자의 마음에 선명하게 남아있다. 현재까지 24년을 한국에 머물며 루터 대학교에서 실천신학을 가르치는 말테 리노 교수는 지난 2015년 11월 한국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종교개혁 500주년 축제 준비보다 교단과 교파들이 모여 종교개혁의 참 의미와 한국교회 현주소를 논의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한국교회가 문제를 극복하려면 더 멀리 되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종교개혁 500주년을 계기로 한국 교회가 신앙의 본질로 돌아갔으면 좋겠다.”고도 했다.

인터뷰에서 말테 리노 교수는 지금의 한국 개신교 이미지가 최악이 라고 지적했다. 그 원인으로 대형교회 목사들이 힘과 돈을 휘두르고 정 치와 권력에 관심이 많은 점을 꼽았다. 그는 한국교회가 자본주의와 가 깝다는 사실도 언급했다. 돈을 신(神)으로 보고 부자가 되기 위해 하나님 의 복을 바란다는 것이다. 기독교인은 돈을 위험하게 여기고 자본주의 에서 오는 이기주의 개인주의를 비판적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미국식 개신교가 한국의 무속 신앙, 유교 등과 결합해 기복 사상 등이 더 뚜렷해졌다고 보았다.

다른 나라에서 태어난 사람이 한국의 문화나 종교에 대하여 정확하 고 바르게 평가한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또 그 평가가 100% 옳다 고만 볼 수도 없다. 그러나 적어도 한국에 와서 25년 가까이 산 사람 의 애정 어린 충고에 대해 마음을 열고 귀를 기울여 듣는 자세가 우리 에게는 지금 필요하다. 아니 어쩌면 우리가 보지 못하는 게 그들 눈에 는 보일는지도 모른다.

우리는 사도 바울이 갈라디아교회가 다른 복음을 따라가고 있다고 강하게 질책한 것을 잘 알고 있다.(갈 1:6,7) 사실 ‘다른 복음’이란 있을 수 없다. 변질이 된 것은 이미 복음이 아니다. 참된 복음은 반드시 참 된 열매를 맺는다. 사람들이 아무리 듣기 좋아해도 바른 복음이 아니면 좋은 열매를 맺을 수 없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고난의 복음 대신 한국교회를 점령해 버린 ‘번영의 복음’과 ‘기복 신앙’의 폐해 를 한국교회는 지금 고스란히 겪고 있다. 지금 우리는 어떤 복음을 전 하고 있는가? 다른 복음을 전하는 자는 그 누구든 저주를 받아야 한다. 그리스도의 종은 오직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복음만을 전하며 사람들의 기쁨을 구하지 않는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그가 아무리 큰 세계 적인 대형교회에서 목회한다 해도 그는 그리스도의 종이 아니다.

이제 세달만 지나면 종교개혁 500주년인 2017년이 된다. 기념행사가 필요한 것은 인정하나 행사가 결코 한국교회의 개혁과 부흥을 가져오지 않는다는 것은 우리가 다 잘 안다. 지난 2007년에도 우리는 ‘Again 1907’ 행사를 거대하게 치렀다. 그러나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아니 오히려 더 추락의 속도가 빨라졌다. 왜냐면 복음을 통한 회개도 부흥도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인 복음을 조금도 부끄러워하지 말고 담대하게 전하자.(롬 1:16) 그리고 이 복음대로 살자. 그리스도의 피가 흐르는 이 복음 안에서 나부터 행함과 진실함으로 살아가자.

(*) 글쓴 이 / 허태성 목사(서울 강변교회 담임) 출처 / http://rpress.or.kr/xe/369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