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단

2천년 교회역사에 나타난 기독론 이단 사상들

제 1차 니케아 공의회

1. 초대교회의 이단들

초대교회의 기독교 문헌들은 그리스도는 하나님과 사람이요, 인자와 하나님의 아들이며, 무죄하신 분이요, 예배의 대상이라는 것을 분명이 했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한 위(一位, one person) 안에 신성(神性)과 인성(人性) 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부족했다. 교회는 오랜 세월 치열한 논쟁을 거치고 나서야 비로소 그리스도의 양성(兩性)과 위(位)에 대한 성경적 사상을 확정했으며 따라서 이단들과의 투쟁에서 승리를 거뒀다.

2.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인한 이단들

기독교 초기에는 그리스도의 신성(神性)을 부인(否認)하는 많은 이단들이 일어났다.

(1) 1세기 에비온파(Ebionites) 이단

이들은 유대교적 입장에서 사도 바울을 계속 반대한 바리새형 단체였다. 그들은 바울의 사도직을 인정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그를 율법의 배교자로 여겼으며 모든 그리스도인은 마땅히 할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들은 유대교의 유일신(唯一神) 사상 때문에 그리스도의 선재(先在)와 신성 그리고 동정녀 탄생을 부인했다. 예수는 다만 율법을 온전히 준수한 점이 다른 사람과 다르며 그의 율법적 경건 때문에 메시아로 선택되었다고 주장했다. 예수는 세례를 받을 때 이 사실을 의식했으며 또한 선지자와 교사의 일을 완수할 수 있도록 성령을 받았으나 십자가에 못 박히기 전에 성령은 그에게서 떠났다고 주장했다.

(2) 2,3세기  알로기파(Alogi) 이단

이 파는 2,3세기의 극히 적은 한 종파로 사도 요한의 로고스 교리가 신약의 다른 교훈과 충돌된다고 하여 그의 저서들을 배척했다. 그들에 의하면 예수는 비록 동정녀에게 이적(異蹟)으로 탄생했지만 오직 인간일 뿐이며 그가 세례를 받을 때 그리스도가 강림하여 그에게 초자연적 능력들을 부여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어떤 학자들은 이 알로기파를 3세기에 나타난 역동적 단일신론(力動的單一新論 Dynamic Monarchianism)의 최초의 형태로 보았다. 후에 최초의 대표자인 비잔티움의 데오도투스(Theodotus of Byjantium)는 로마의 감독 빅토르(Victor)에 의해 파문되었다.

그래서 이 종파는 그 세력이 점점 약해지다가 안디옥의 감독이었던  사모사타의 바울(Paul of Samosata)의 노력에 의해 다시 소생했는데 그에 의하면 로고스는 성부와 동질(同質)이나 신격(神格)에서 구별된 인격은 아니었다. 로고스가 하나님과 동일시될 수 있는 것은 마치 인간 이성이 사람 안에 있는 것처럼 그가(로고스) 하나님 안에 있기 때문이다. 로고스는 모든 인간 안에 임재 하였으나 인간 예수 안에서는 특별히 일하셨던 한 비인격적 능력일 뿐이라고 했다.

이 신적 능력은 인간 예수 안에 점점 침투하여 그 인성을 신화(神化)하였다. 이렇게 인간 예수가 신격화하였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 그를 하나님으로 볼 수는 없으나 하나님의 존영(尊榮)을 받기에 합당하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사모사타의 바울은 예수와 로고스를 구별하여 전자(예수)를 다른 사람과 동일한 인간으로 보았고 후자(로고스)를 비인격적인 신적 이성(異性)으로 보았다. 즉 신성을 부인 한 것이다.

그리고 이 신적 이성(異性)이 예수가 세례 받을 때부터 그 안에 거주하여 그의 큰 과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고 생각했다. 이와 같은 로고스 교리를 구성함으로 그는 위(位)의 단일성과 양성의 단일을 의미하는 하나님의 단일성을 주장하게 되었던 것이다. 사모사타의 바울의 기본적인 관심은 예수의 참된 인성을 옹호하는 데 있었다.

(3) 소시니안파(Socinians), 유니테리안파(Unitarians), 자유주의 신학

세 번째 근세에 와서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정한 이단들은 종교개혁시기의 소시니안파(Socinians)와 현대의 유니테리안파(Unitarians) 그리고 현대 자유주의 신학자들이다.

16세기 소시니안파는 삼위(三位)가 공통된 본체를 가졌다는 삼위일체교리는 인간 이성(理性)에 모순된다고 보았으며 심지어는 성자의 선재까지도 부정했다. 그들은 그리스도가 비록 특별한 성령을 충만이 받으시고 하나님에 대한 지식이 많으며 승천 후에도 만물의 지배권을 받았다고 하지만 그는 본질적인 성질로 보아 단순한 한 인간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들의 이와 같은 하나님에 대한 개념은 오늘날에 유니테리안과 현대주의신학의 선구자가 되었다.  

유니테리안파는 종교개혁 이후 지금까지 교회 안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단으로 단일신론과 아리우스파 중 그 선구자다. 유니테리안파는 신조(信條)를 부인하고 다양한 신앙의 범위를 가지고 있으면서 하나님의 단일성을 강조하고 그리스도와 성령의 신성을 부정한다. 그들은 자유, 이성, 관용을 인격적이며 사회적인 종교에 본질적인 것으로 보았다.

2. 그리스도의 인성을 부인한 이단들

또 기독교 초기에는 그리스도의 인성(人性)을 부인하는 이단들도 많이 일어났다.

(1) 영지주의(靈知主義, Gnosticism) 이단  

그들은 신약교회 역사상 최초로 나타난 신학적 이단들 중의 하나였는데 요한일서 4:2,3에서 이를 알 수 있다. “하나님의 영은 이것으로 알지니 곧 예수그리스도께서 육체로 오신 것을 시인하는 영마다 하나님께 속한 것이요 (육체로 오신) 예수를  시인하지 아니하는 영마다 하나님께 속한 것이니 아니니 이것이 곧 적그리스도의 영이니라.”

그들은 예수는 인간으로 보여 진 것뿐이며 실제로 육신을 입은 것은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그들의 사상은 물질은 본래적으로 악하고 영(靈)은 선하다고 보는 이원론이었기 때문에 그리스도가 악한 물질인 육신을 입을 수가 없다고 주장했다. 성육신의 관념은 이렇게 하나님이 볼 수 있는 형태로 나타나셨다는 것을 의미하며 동시에 영(靈)과 물질의 직접적인 접촉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용납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또 그들은 이렇게 말한다. “그리스도는 역사적 인간뿐이었으나 하늘의 그리스도에게 점령되셨다. 하늘의 그리스도는 인간 예수에게서 활동하셨으나 성육신하지 않으신 것은 물질이 악하기 때문이다. 하늘의 그리스도는 인간 예수가 세례를 받으실 때 그에게 강림하셨다가 십자가에 못 박하시기 직전 하늘로 올라가시고 인간만이 십자가에서 죽으셨다.” 그들의 대다수는 그리스도를 성부와 동체이신 영(靈)으로 보았다. 그 중에 어떤 사람들은 그리스도의 탄생, 수난, 죽음까지 부인했다.

(2) 4세기 사벨리우스파(Sabellians) 이단  

그들은 단순히 하나님이 자신을 나타내신 한 형태로 그리스도를 생각했다. 그들은 하나님의 단일성을 주장하는데 관심이 있었으나 그 기본적인 관심은 기독론 즉 그리스도의 충분한 신성을 주장하는 데 있었다. 이 견해는 양식적 단일신론(樣式的單一新論)이라 불렸는데 그 이유는 하나님의 3위를 하나님의 현현의 세 가지 양식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들에 의하면 성부, 성자, 성령이란 명칭은 단순히 한 신적 본체가 자신을 나타낼 때의 세 가지 형상(形象)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했다. 그래서 하나님은 자신을 창조와 율법수여에서는 성부로, 성육신에서는 성자로, 중생과 성화에서는 성령으로 나타내셨다고 주장했다.

3.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완전성을 부인한 이단들

(1) 4세기 아리우스파(Arians) 이단

그들은 그리스도의 신성의 완전성을 부인하고 하나님도 아니요 사람도 아닌 창조된 존재 즉 일종의 반신반인(半神半人)의 그리스도를 만들어 놓았다. 그래서 그들은 예수 그리스도는 비록 창조된 모든 신적 존재들 중에서 가장 클지라도 하나의 창조된 존재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 견해는 그리스도의 비하상태의 성경적 교훈을 오해하고 지상에서의 일시적 예속을 영원한 불평등으로 오인하고 있다. 그들은 특별히 인간 이성(理性)에 호소했다.(요 5:19, 빌 2:17, 골 1:15 등을 근거로 주장) 이 주장은 주후 325년 니케아 회의에서 이단으로 정죄되었다.

(2) 4세기 아폴리나리우스(Apollinarians) 이단 

아폴리나리우스는 아리우스파를 강하게 반대하여 다른 극단으로 흐른 결과 그리스도의 인성을 축소하고 말았다. 그는 사람이 육, 혼, 영의 3부로 구성되었다는 헬라 철학의 3분설의 개념을 가지고 로고스가 죄의 좌소(坐所)인 영(靈)의 자리를 취하셨다고 주장했다. 그리스도는 육체와 혼(魂)만을 가지셨고 영(靈)의 자리는 로고스가 채웠다고 하여 그리스도의 완전한 인성을 축소하였다.

즉 그의 주장은 그리스도는 영(靈)이 없는 인성을 입으신 것이다. 그는 또 주장하기를 그리스도는 육체를 가졌지만 그 육체는 어떤 방법으로 승화하여 거의 사람의 육체가 아니었다고 했다. 아폴리나리우스의 중요한 관심사는 그리스도의 참된 신성을 희생시키지 않고 그리스도의 위의 단일성을 확보하며 따라서 그리스도의 무죄성을 지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381년 콘스탄티노플회의에서 이단으로 정죄되었다.  

4. 그리스도의 인격의 통일성을 부인한 이단

주후 5세기 그리스도의 양성 즉 신성과 인성을 한 인격(位)으로 통일하지 못하고 사실상 신성과 인성을 두 인격으로 만든 이단이 나타났는데 그가 네스토리우스(Nestorius)였다. 그는 아리우스주의를 대항하여 그리스도의 완전한 인성을 부인하지 않으면서 그의 참된 신성을 변호하려고 했다. 그러다가 그는 두 위(二位)의 교리로 발전시키고 말았다.

네스토리우스는 그리스도의 완전한 인성을 강조하고 이 인성 안에 로고스가 내주하는 것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신자들도 누리는 것과 똑같은 도덕적 내주라고 생각하였다. 그는 그리스도 안에서 양성의 진정한 연합을 사실상 부정하고 그 둘을 유기적인 연합 즉 단일 의식화하는 것보다는 도덕적이며 동정적인 연합으로 제시했다.

즉 인간 그리스도는 하나님이 아니라 신격(神格)의 소유자요 하나님 지참자(持參者)였다. 그리스도가 경배를 받는 것은 그가 하나님이기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이 그 안에 계셨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네스토리우스는 그리스도의 인간 인격의 진정한 경건과 도덕적인 훌륭한 모범을 교회에 남겼으나 모든 영적 능력과 은혜와 구원의 근원이신 신인(神人)으로서의 구속주(救贖主)를 제거해 버렸다. 네스토리우스파는 431년 에베소회의에서 이단으로 정죄되고 451년 칼케돈 회의에서 다시 정죄되었다.

5.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혼합한 이단

주후 5세기 네스토리우스파를 강하게 반대한 늙은 수도사 유티쿠스(Eutichus)는 콘스탄티노플에서 헬라 사상과 복음진리를 놀라운 방법으로 결합한 알렉산드리아 신학의 주장을 지지하였다. 유티쿠스는 그리스도의 양성의 구별을 부인하고 그 둘을 하나로 혼합하여 신성도 인성도 아닌 제 3성을 만들었다. 유티쿠스와 그의 추종자들은 그리스도의 인성이 신성에 흡수된 것처럼 표현했다. 이것 때문에 그들은 일성론자들(Monophysites)이라 불렸다.

그들은 위(位)의 하나님을 유지하기 위해 양성의 혼합을 강조하였고 그 결과 양성의 구별이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 이 경우 신성은 인성을 압도함으로 인성은 신성에 흡수되거나 변화되었고 한편 신성도 연합 후에 모든 점에서 전과 같이 않았다고 주장했다. 451년 칼케돈 회의는 앞의 네스토리우스파와 유티쿠스파의 두 견해를 아울러 이단으로 정죄하고 그리스도의 양성(兩性)과 함께 위(位)의 단일성을 주장했다.

6. 주후 451년 칼케돈회의 이후 이단들

주후 5세기에 유티쿠스주의(一性論)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관념에 새 이름을 가지고 나타난 소위 일의설(一意說, Monothelitism)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이 일어났는데 7세기에 와서는 더욱 성행했다. 그 명칭이 보여주는 대로 그들은 위(位)의 통일성을 출발점으로 하여 그리스도 안에는 단일한 신성만 있는 것처럼 한 의지(意志)만 있다고 주장했다.

이 설의 하나는 인간 의지가 하나님 의지 안에 연합되어 후자만이 역할을 한다고 보았고 다른 하나는 하나님 의지와 인간 의지가 혼합하여 합성적인 의지가 되었다고 하였다. 680년 제3차 콘스탄티노플 회의는 일의설을 이단으로 정죄하고 “예수 그리스도는 양성과 아울러 두 의지를 가졌으며 인간 의지와 하나님의 의자가 조화적으로 역사하여 인간 의지는 하나님 의지에 복종하였다.”는 성경적 입장을 밝혔다.

7세기와 8세기 스페인에서는 양자설 논쟁(養子說 論爭)이라고 불리는 기독론 사상의 새로운 운동이 일어났다. 양자설의 옹호자는 스페인 우르겔라(Urgella)의 감독 펠릭스(Felix)였는데 그에 의하면 그리스도는 로고스인 신성으로는 본래적 의미의 하나님의 독생자였으나 인성 편에서는 양자의 형식으로 하나님의 아들이 되었다. 그는 그리스도의 베들레헴에서의 자연적 출생과 세례 받으실 때 시작하여 부활 때 완성된 주의 영적 출생을 구별하고 이 영적 출생 때문에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양자가 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 양자설의 오류는 794년 프랑크푸르트 대회(the Synod of Frankfort)에서 이단으로 정죄되었다.

7. 19세기와 현대의 기독론

18세기에 그리스도의 인격(位) 연구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그때까지는 출발점이 일반적으로 신학적이었으며 그 결과 생긴 기독론은 하나님 중심이었다. 그러나 18세기에 와서 그것이 최선의 방법이 아니라는 확신이 자라 좀 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 역사적 예수의 연구에서부터 출발하였다. 그래서 새로운 기독론의 세기가 시작된 것이다. 그러나 이 사상의 중심점은 인간학적이었으며 그 결과는 인간중심의 기독론으로 변질되고 말았다.

이 새 방법은 건전한 결과보다는 파괴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즉 권위와 초자연을 강하게 반대하고 반면 인간의 이성과 경험에 호소하게 되었다. 그리스도에 대하여 가르치는 것은 성경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생활과 그리스도에 대한 우리의 경험이라고 하였다. 영광의 주는 거의 모든 초자연적인 것을 박탈당하고 그리스도에 관한 교리는 단순히 예수의 교훈으로 몰락하고 말았다. 그는 예배의 대상이었으나 이제는 단순한 윤리적 교사가 되어버렸다. 그 대표자들을 몇 사람 찾아보자.

(1) 슬라이어막허(Schleiermacher) 

먼저 자유주의 신학의 아버지라 일컷는 슬라이어막허(Schleiermacher)의 기독론을 보면 예수는 단순한 인간에 지나지 않는다. 그에 의하면 예수는 하나님과의 완전하고 지속적인 연합의식을 가졌다는 점과 무죄하고 완전한 성격으로 인간운명의 완전을 실현하실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그 인격의 독특성을 찾을 수 있다고 하였다. 그는 우리와 같은 참 사람이지만 좋은 환경에 처하여 무죄하게 지나며 순종하셨다는 것이다. 그는 완전한 종교적 인물이며 모든 참 종교의 원천이시다고 했다. 그렇기 때문에 또한 동정녀 탄생은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고 했다.

(2) (Immanuel Kant)

칸트는 그리스도가 단순히 윤리적으로 완전한 이상형에 불과하다고 본다. 구원은 이 이상을 신앙하는 데서 오는 것이며 한 인격으로서의 예수를 믿음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이 이상은 이성의 진리에 계시되었으며 합리적 신앙의 내용이 되었는데 예수는 이 신앙의 내용이 되었고 또한 가장 탁월한 교사요 개척자이시다. 칸트는 결국 인간이 예수 그리스도와 어떤 인격적 관계없이도 구원을 얻을 수 있게 만들었다. 그는 기독교에서 십자가를 빼버린 것이다.

(3) (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헤겔의 그리스도는 하나님과 인간을 하나로 보는 범신론적 사상체계의 일부분이다. 헤겔은 인간의 역사를 하나님의 자기 전개의 과정으로 보고 이런 의미에서만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신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 성육신(成肉身)은 하나님과 인간이 하나 됨을 의미한다. 사람들은 대체로 그리스도를 교사로 보지만 신앙은 예수를 하나님으로 또는 하나님의 초월성의 절정으로 본다. 그가 행하시는 모든 것은 하나님의 계시가 되며 하나님은 그를 통해서 우리에게 가까이 오시며 우리를 감화시키고 하나님을 의식하게 하신다고 헤겔은 주장했다.

(4) 케노시스 기독론

그리스도의 인격에 대한 신학적인 교리를 고치려는 주목할 만한 시도가 있었는데 그것은 케노시스(Kenosis) 기독론이다. 케노시스라는 명사는 빌립보 2:7의 ‘그리스도께서 자기를 비어 종의 형체를 가져’라는 말에서 나왔다. 케노시스 기독론 주장자들은 이 구절을 오역하여 “그리스도께서 성육신하실 때 자신의 신성을 버리셨다.”고 해석했다. 그러나 ‘자기를 비어’라는 말은 그리스도가 신성을 버렸다는 말이 아니고 권세와 영광에서 하나님과 동등 됨을 버리셨다는 뜻이다.

또 그리스도가 종의 형체를 취하신 것은 그의 하나님의 본체(本體)를 포기하셨다는 뜻이 아니다. 그리스도는 비록 하나님의 본체로 선재(先在)하셨으나 하나님과의 동등 됨을 잃어버릴 수 없는 보화로 여기지 않으시고 스스로 겸허하게 종의 형체를 취하신 것이다. 케노시스 교리는 범신론의 기초 하에 하나님의 불변성과 삼위일체의 진리를 파괴했다.

(5) 릿(Albrecht Ritsohl)

슬라이어막허를 제외하고는 릿츌(Albrecht Ritsohl)만큼 현대신학에 큰 영향을 준 사람은 없다. 그는 자신의 기독론의 출발점을 그리스도의 인격에 두지 않고 사역(使役)에 두었다. 그의 관심사는 “그리스도는 누구이냐?”가 아니고 “그는 무엇을 했느냐?”에 있었다. 그리스도의 사역은 그의 인격의 위엄(威嚴)을 결정한다. 그래서 그는 이렇게 말한다. “그리스도는 단순한 인간이지만 그가 이루신 사역과 그가 행하신 봉사를 보아서 우리는 그를 하나님이라고 부른다.”

하나님의 일을 하신 분을 하나님이라 부르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스도는 은혜와 진리와 구속의 능력으로 하나님을 계시하여 우리에게 하나님의 능력을 보여 주셨으며 그렇기 때문에 그는 하나님의 영광을 받기에 합당하다. 릿츌은 그리스도의 선재나 성육신과 동정녀 탄생은 그리스도인의 신앙체험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하여 무시했다. 릿츌의 기독론은 사실상 사모사타의 바울이 만들어 놓은 역사적 예수의 근대판에 지나지 않는다.

현대신학의 그리스도는 현대 범신론적 개념을 기초로 하여 철저한 자연주의적 방법에 따라 표현되고 있다. 그 표현은 다양하지만 하나님과 인간의 본질적 통일이라는 그 근본적 관념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일치점을 갖는다. 그들은 “그리스도는 자신 안에 내재하시는 하나님을 더 많이 의식했다는 점에서 보통 인간들과는 다르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모든 사람은 다 신적(神的)이다. 그 이유는 하나님께서 모든 사람 안에 다 내재(內在)하시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리스도가 우월한 것은 하나님에 대한 보다 큰 감수성과 뛰어난 하나님 의식 때문이다.”라고 말한다.(*) 글쓴 이 / 신복윤 교수(조직신학) 출처 / 월간 ‘교회와신앙’ 1994년 1월호